Today I Learned/정보처리기사

형상관리

Malachai Lee 2022. 4. 16. 01:04

소프트웨어 형상관리(Software Configuration Management)는 소프트웨어의 개발과정에서 소프트웨어의 변경사항을 관리하기 위해 개발된 일련의 활동이다.

 

소프트웨어 개발의 모든 단계에 적용되는 활동이며, 유지보수단계에서도 수행한다.

 

형상관리를 통해 변경사항을 체계적으로 추적하고 통제할 수 있으며. 제품 소프트웨어에 대한 무절제한 변경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진행정도를 확인하기 위한 기준으로 사용될 수 있다.

 


형상관리는 4가지 작업으로 구분할 수 있다.

 

형상 식별

 형상항목(Software Configuration Item)에 이름과 관리번호를 부여하고, 계층 구조로 구분하여 수정 및 추적이 용이하도록 하는 작업이다.

 

형상 통제

 변경통제 위원회(CCB; Change Control Board)에서 식별된 형상 항목에 대한 변경 요구를 검토하여 현재의 기준선(Baseline)이 잘 반영될 수 있도록 조정하는 작업이다.

기준선이란 정식으로 검토되고 합의된 명세서나 제품으로, 소프트웨어 개발 시 소프트웨어 변경을 적절히 제어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형상 감사

 기준선의 무결성을 평가하기 위해 확인, 검증, 검열 과정을 통해 공식적으로 승인하는 작업이다.

 소스코드를 검토하는 FCA(Functional Configuration Audit)활동으로 실제 기능이 기능 기준선(Functional Baseline)및 할당 기준선(Allocation Baseline)에 명시된 요구조건을 충족하는가를 확인하고

 프로덕트를 관리하는 PCA(Physical Configuration Audit)활동으로 검증된 형상품목의 형상이 설계문서와 일치하는지 판단하고, 제품 기준선을 확인한다.

 

형상 기록

 형상의 식별, 통제, 감사 작업의 결과를 기록, 관리하고 보고서를 작성하는 작업이다.

 


형상관리는 다양한 이유에서 사용된다.

 

가시성의 결핍

 소프트웨어는 무형물로, 문서화되어있지 않으면 그 형상을 파악하기 힘들기 때문에, 문서적 형상관리가 중요하다.

통제의 어려움

 위의 이유로, 보이지 않는 상품의 제작은 통제하기 어렵다.

추적의 어려움

 다수의 개발진들이 함께 작업을 하는 협업구조에서, 프로젝트의 중간 목표들을 연결시키기 힘들고 개발과정을 추적하기 어렵다.

감시의 마비

 가시성의 결핍과 추적의 어려움으로 인해 프로젝트의 진행을 감시하기 힘들게 만든다.

무절제한 변경

 통제 및 관리가 되지 않는 환경에서 무절제한 소프트웨어의 변경이 발생한다.

'Today I Learned > 정보처리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애플리케이션 테스트  (0) 2022.04.16
버전 관리 도구  (0) 2022.04.16
릴리즈 노트  (0) 2022.04.16
소프트웨어 패키징  (0) 2022.04.16
절차형 SQL  (0) 2022.04.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