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s -l 명령어를 실행해보면 맨 우측에 이상한 문자열을 볼 수 있다.
-rw-rw-r-- 1 ubuntu ubuntu 113 Apr 23 07:36 Application.java
-rw-r--r-- 1 root root 7 Apr 23 07:47 a.txt
...
첫번째 문자는 해당 객체의 종류를 의미한다.
“-” 파일, “d” 폴더
나머지 9개의 문자는 각 세부분으로 나뉘어진다.
“rw-”+”r—”+”r—”
(소유자의 권한+그룹의 권한+공동(anyone)의 권한)
맨 앞의 문자를 제하면 나머지 9개의 문자는 3개의 문자로 나뉘어진 권한 표기용 3개의 섹터이다. 각 섹터는 r, w, x의 권한을 표기하며 이는 각 read, write, execute를 의미한다.
이 긴 문자열을 간단하게 표현하는 방법이 있는데, rwx에 각 숫자를 대입해 0~7의 수로 표현하는 것이다. 한마디로 권한을 이진화 시켜 8진수로 변환하는 것이다.
r을 4, w를 2, x를 1에 대입하여 문자열을 단순화 시킨다. 예로, rw-의 권한은 4+2=6으로 나타낼 수 있다. rw-r—r—의 권한은 644로 나타낼 수 있다.
chmod
chmod 명령어로 객체의 권한을 간단하게 변경할 수 있다.
8진으로 권한을 변환하여 명령을 실행하면 객체의 권한이 변경된다.
'Today I Learned >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프리티어 EC2에 OpenVPN 서버 구축하기 (0) | 2023.08.09 |
---|---|
PPA (0) | 2022.06.28 |
apt 명령어 (0) | 2022.06.28 |
EC2 (0) | 2022.06.28 |
AWS 접속 시 사용자 명(PuTTY) (0) | 2022.06.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