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day I Learned/개념 정리

IP, Packet, Port

Malachai Lee 2022. 6. 28. 22:33

패킷

서킷 스위칭

하나의 회선을 할당받아 데이터를 주고받는 방식

 

서킷(Circuit)이란 연결 통신 이전에 맺어야 한다.

 

 

패킷 스위칭

데이터를 패킷의 단위로 분할하여 전송하는 방식

 

패킷은 다음 노드로 전송되기 전 저장 후 전달되는 store and forward 방식을 따른다.

패킷의 헤더에는 출발지, 목적지 정보가 있으며, 라우팅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경로를 설정한다.

큐에 저장되는 패킷이 수용범위를 초과하면 손실이 발생(overflow)한다.

 

IP

비대해진 네트워크 상 라우팅을 위해 사용자의 주소를 구분할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개별 컴퓨터는 각 Unique한 주소를 할당받는데, 이 주소를 IP라 한다.

 

IPv4

정수값으로 42억9천가지의 주소를 배정하는 방식이다.

 

********.********.********.******** : bit(0, 1)

 

dot으로 구분된 각 파트엔 2^8가지, 10진수로 0~255의 값을 배정할 수 있다.

 

IPv6

늘어나는 컴퓨터의 수에 따라 IPv4의 한계에 도달해, 더 많은 주소를 배정할 수 있는 방식이다.

 

 

*IPv5는 왜 없나? : 홀수버전은 테스트의 용도, 짝수버전은 서비스의 용도로 사용된다.

 

포트

하나의 컴퓨터에서 실행하는 애플리케이션을 특정하기 위해 배정되는 스레드의 번호이다.

16개의 비트로 구성되며, 최대 65536개를 할당할 수 있다.

'Today I Learned > 개념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DNS  (1) 2022.09.15
직관과 논리  (0) 2022.07.01
DB Normalization  (0) 2022.06.14
SQL, NoSQL  (0) 2022.06.10
REST, RESTful, RESTful API  (0) 2022.06.08